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 285
  • 15 834 493
[건강강좌]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 |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 구유정 교수님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내분비내과 구유정 교수님이 알려주시는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 방법입니다.
--------
건강정보의 홍수 속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만을 전하는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의 유튜브 채널!
영상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
00:05 강좌 주제
00:11 골다공증이란?
04:13 골다공증의 진단
10:45 낙상의 예방과 대처
21:47 골다공증에 좋은 운동
22:53 골다공증 치료제
26:38 정리
#골다공증 #골다공증예방 #낙상사고
Переглядів: 1 214

Відео

[건강정보] 공감능력 뛰어난 사람이 예민해지는 이유 I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I 윤대현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65414 днів тому
감정적 공감? 공감적 관심? 공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요즘,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한정된 에너지에서 효율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해결책에 대해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정신건강의학과 윤대현 교수님이 알려드립니다. 00:00 인트로 00:12 공감 에너지 소모 01:18 감정적 공감과 공감적 관심 02:07 시청자 질문 03:04 아웃트로 건강정보의 홍수 속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만을 전하는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의 유튜브 채널! 영상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 #공감능력 #감정조절 #대화법
[의학논문] 당뇨병 환자가 먹어도 되는 과일 '이것' I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I 오승원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21 день тому
📄의학논문 읽어드립니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오승원 교수님의 '과일이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통해 과일과 당뇨병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과일과 올바른 과일 섭취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의 건강을 관리해 나가는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가 되도록하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10 과일의 효능 00:47 과일과 당뇨병의 관련성 01:47 올바른 과일 섭취 방법 02:40 결론 건강정보의 홍수 속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만을 전하는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의 유튜브 채널! 영상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 #당뇨예방 #당뇨과일 #의학논문
[건강정보] 약을 먹지 않고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 디지털 치료제 I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I 최형진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919Місяць тому
디지털 기술로 어떻게 비만을 관리할수 있는지, 뇌과학 전문가인 최형진 교수님께서 비만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0:00 인트로 00:28 디지털치료제란 02:52 디지털 치료제의 장단점 03:41 디지털 치료제의 미래 04:27 시청자 질문 08:32 마치는말 건강정보의 홍수 속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만을 전하는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의 유튜브 채널! 영상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 #디지털치료제 #비만 #다이어트
[건강정보] 뇌과학 교수님이 알려주는 다이어트약의 모든것!💊 I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I 최형진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834Місяць тому
다이어트약을 먹으면 과연 효과는 있을까? 부작용은 없지 않을까? 많이 궁금하셨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의 최형진 교수님께서 다이어트약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00:00 인트로 00:20 다이어트약의 진실? 01:03 GLP-1 호르몬 약이란? 03:00 GLP-1 호르몬 약의 효능 03:46 다이어트 보조제의 허와 실 04:45 시청자 댓글문의 06:38 다음편 예고 건강정보의 홍수 속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만을 전하는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의 유튜브 채널! 영상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 #뇌과학 #최형진 #다이어트#다이어트약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비만 #건강 #건강검진 #뇌 #내분비내과 #서울대학교병원
[건강강좌] 근육 노화와 근감소증을 예방하는 근력 운동 |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 임재영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임재영 교수님이 알려주시는 근육노화와 근감소증을 예방하는 근력 운동 방법입니다. 건강정보의 홍수 속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만을 전하는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의 유튜브 채널! 영상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 00:00 주제 소개 02:37 근감소증이란? 06:18 근감소증 진단 12:04 근육노화,근감소증 예방 26:04 요약 정리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병원 #임재영 #근육노화 #근감소증 #근력운동
[건강정보] 뇌과학 교수님이 알려주는 똑똑한 다이어트 방법!🤫 I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I 최형진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매년 시도해도 실패하는 다이어트!💦 원인은 다름 아닌 여러분의 ‘뇌’🧠에 있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를 비만의 늪으로 빠뜨리는 뇌과학의 비밀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의 최형진 교수님께서 알려드립니다. 00:00 인트로 00:13 교수 소개 00:39 도입부 01:08 다이어트가 어려운 이유? 04:35 뇌과학적인 다이어트 방법! 06:17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시청자 댓글 문의) 08:55 마무리 #뇌과학 #최형진 #다이어트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비만 #건강 #건강검진 #뇌 #내분비내과 #서울대학교병원
비만 완전 정복 제 2탄! 비만의 예방법과 치료방법
Переглядів 5453 місяці тому
지난 시간에 이은 비만 완전 정복 제 2탄! 지난 영상으로 비만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셨나요? 이번 시간에는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최호천 교수님과 함께 비만의 예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건강정보의 홍수 속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만을 전하는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의 유튜브 채널! 영상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 #비만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비만치료 #비만예방 #체중감량 #체중 #몸무게 #비만약 #삭센다 #위고비 #펜터민 #비만수술 #바리아트릭 #가정의학과 #최호천 00:00 비만 완전 정복 제2탄 00:28 식습관 & 생활습관 개선 02:04 약물치료 04:25 수술치료 05:03 마무리
비만 완전 정복 제 1탄! 비만의 원인과 검사 방법
Переглядів 3553 місяці тому
비만 완전 정복 제 1탄! 비만의 원인과 검사 방법
2024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코골이 수면 특화 검진 알아보기
Переглядів 4863 місяці тому
2024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코골이 수면 특화 검진 알아보기
2024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비타민 컨설팅 특화 프로그램 알아보기
Переглядів 4814 місяці тому
2024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비타민 컨설팅 특화 프로그램 알아보기
MBTI 어떻게 받아들이면 좋을까?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바라보는 MBTI
Переглядів 7254 місяці тому
MBTI 어떻게 받아들이면 좋을까?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바라보는 MBTI
다면평가, 타인이 나를 평가하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Переглядів 5365 місяців тому
다면평가, 타인이 나를 평가하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나의 하루를 진료하는 반딧불 의원] 출판 기념 가정의학과 오승원 교수님 저자와의 대화📘
Переглядів 4615 місяців тому
[나의 하루를 진료하는 반딧불 의원] 출판 기념 가정의학과 오승원 교수님 저자와의 대화📘
2024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부정맥 특화 검진 알아보기
Переглядів 8695 місяців тому
2024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부정맥 특화 검진 알아보기
[경품증정]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구독자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Переглядів 7406 місяців тому
[경품증정]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구독자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
11월 건강강좌: 오메가3, 알고 드시나요?
Переглядів 4,2 тис.6 місяців тому
11월 건강강좌: 오메가3, 알고 드시나요?
(5) 치매 예방 최고 솔루션 "사회적 연결"ㅣ윤대현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X 윤선주 '짠' 대표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Переглядів 4227 місяців тому
(5) 치매 예방 최고 솔루션 "사회적 연결"ㅣ윤대현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X 윤선주 '짠' 대표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4) 행복을 찾아 떠도는 방랑자, 건강한 짠ㅣ음주메타버스 '짠' 윤선주 대표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Переглядів 2907 місяців тому
(4) 행복을 찾아 떠도는 방랑자, 건강한 짠ㅣ음주메타버스 '짠' 윤선주 대표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3) 여성 갱년기와 호르몬 치료ㅣ산부인과 김진주 교수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Переглядів 8357 місяців тому
(3) 여성 갱년기와 호르몬 치료ㅣ산부인과 김진주 교수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당뇨 관리ㅣ내분비내과 윤지완 교수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Переглядів 6177 місяців тому
(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당뇨 관리ㅣ내분비내과 윤지완 교수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1)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심혈관 질환 관리하기ㅣ순환기내과 최수연 교수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Переглядів 4547 місяців тому
(1)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심혈관 질환 관리하기ㅣ순환기내과 최수연 교수ㅣ강남센터 건강 이야기, 더 건강한 내일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20주년 기념식, 그 현장을 함께 해요!
Переглядів 6108 місяців тому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20주년 기념식, 그 현장을 함께 해요!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개원 20주년 기념영상
Переглядів 7908 місяців тому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개원 20주년 기념영상
9월 건강강좌: 건강기능식품, 알고 드시나요?
Переглядів 4,2 тис.8 місяців тому
9월 건강강좌: 건강기능식품, 알고 드시나요?
단백질 어디까지 가봤니? 서울대병원 교수가 알려주는 올바른 단백질 섭취 방법 (BGM 제거)
Переглядів 2 тис.9 місяців тому
단백질 어디까지 가봤니? 서울대병원 교수가 알려주는 올바른 단백질 섭취 방법 (BGM 제거)
블루라이트 차단 꼭 필요할까? 눈 건강관리용품 제 3탄!
Переглядів 2,1 тис.10 місяців тому
블루라이트 차단 꼭 필요할까? 눈 건강관리용품 제 3탄!
7월 건강강좌: 증상이 없다고 방치하면 큰일 나는 고지혈증 바로 알기
Переглядів 33 тис.10 місяців тому
7월 건강강좌: 증상이 없다고 방치하면 큰일 나는 고지혈증 바로 알기
Since 2009 강남구 의료봉사 현장을 공개합니다!
Переглядів 55911 місяців тому
Since 2009 강남구 의료봉사 현장을 공개합니다!
루테인, 오메가3 등 눈 영양제 과연 의학적인 효과가 있을까? 눈 건강관리용품 제 2탄!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11 місяців тому
루테인, 오메가3 등 눈 영양제 과연 의학적인 효과가 있을까? 눈 건강관리용품 제 2탄!

КОМЕНТАРІ

  • @Lovely_rose_
    @Lovely_rose_ 23 години тому

    어두워지면 아파트 한바퀴라도 돌아야겟어요... 지금은 아무것도 못 하겟어요. 빨래도 청소도 설거지도... 일이 넘 힘들어요... 아..

  • @user-rn8nc2xw6x
    @user-rn8nc2xw6x День тому

    제가 매일 이런걸 했는데 진짜 정말 정확하시네요 감사드립니다.

  • @TV-le4ws
    @TV-le4ws День тому

    후진국인 중국연구를 하필 참고해야 할까요? 국민이라면 개념을 갖고~~ 쭝국인은 북한과 함께 우리의 주적!!! 서울대 ㅈㅈ

  • @shj2272
    @shj2272 2 дні тому

    정말심한사람은 아무약도안듣죠 지금은 둘다끊엇지만 술담배를 마니 오랜기간마신게 변비의 원인이되엇는데 술담배로 인한 변비는 그 어느것으로도 해결이안되니 술담배가 여러인체뿐아니라 얼마나장에도안조은지 알려야합니다

  • @doichichi1123
    @doichichi1123 2 дні тому

    저는 내치핵 2기까지 갔다가 3주만에 완치했는데요. 치핵은 생활습관이 정말 중요한 것 같더라구요. 병원다니면서 약이랑, 연고는 꾸준히 챙겼구요. 술 끊고 식이섬유 충분히 섭취했어요. 좌욕이랑 근적외선 온염찜질도 하루 3번씩 했고 화장실에 핸드폰 들고가지 않기, 변 참지 않기, 너무 힘주지 않기 등 모든 습관을 고쳤어요. 병원도 다니면서 병행하니 금방 낫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온열찜질이랑 술 끊은게 신의한수였던 것 같아요. 아무튼 다들 정말 고통스러우실텐데 제 댓글이 힘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힘내세요.

    • @sjk889sjk
      @sjk889sjk 2 дні тому

      근적외선 찜질 어떤걸로 하셨나요?

    • @doichichi1123
      @doichichi1123 2 дні тому

      @@sjk889sjk 브랜드 이름 기억이 잘안나네요... 메디힙? 좌욕기 였던 것 같아요...

  • @virusvirus8880
    @virusvirus8880 2 дні тому

    처음 3일정도는 너무 어지러워 움직이지도 못했고 그 후 한달정도는 아주 조금씩 좋아졌고 한달 후 부터는 지금 6달 지났는데 호전이 전혀 없네요 현재 간단한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체력이 완전히 바닥을 찍은 느낌이고 한두시간만 움직여도 너무피곤하고 어지러워서 쉬어야합니다 일에 지장이 있으니 너무 힘드네요 지금 느낌으로는 불치병같습니다

  • @user-tk1ci3xt9j
    @user-tk1ci3xt9j 3 дні тому

    소금을 적게 먹으면 신장도 망가진다. 알고나 말하라.

  • @user-de1zd5jv5r
    @user-de1zd5jv5r 3 дні тому

    선생님 심장석회화 검사 어떻게 해야 할가요

  • @user-de1zd5jv5r
    @user-de1zd5jv5r 3 дні тому

    ㆍ비타민k2는 어떤건가요

  • @gij0070
    @gij0070 3 дні тому

    확실히 낮게 나오는건 맞잖어? 전담이나 권련형만 피움 분명 연초보다 덜 해롭고 지금 2024년 6월 다시 전자담배 가게들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결국 저런 의사 전문가들이나 정부나 똑 같은...

  • @jyseoh
    @jyseoh 4 дні тому

    와, 오늘 성대에서 발견된 게 육아종이네요!

  • @user-cd8oe6yr6x
    @user-cd8oe6yr6x 6 днів тому

    최악보다차악을 선택할수있는 권리를. 국가는 뺏고있다

  • @user-ts2cz5rs8v
    @user-ts2cz5rs8v 7 днів тому

    애초에 시작을 안하면 자신도 이웃도 괴로울일이 없는데 왜 시작을 하는거지?

  • @leepaul3823
    @leepaul3823 8 днів тому

    도대체 누구 말이 맞는지 모르겠네

  • @user-xk4wj5gk2n
    @user-xk4wj5gk2n 8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27세 여자입니다. 대학병원에서는 건강하다고 하셨는데요 불안해서 미치겠어요 평소에 답답하다싶으면 애플워치로 심전도를 잘 체크합니다. 심장이 앉아서 쉬고있을때 47-56까지 떠요…… 물론 평소 42까지도 내려가기도해요 문제는 자다가 저심박수알림이떴어요 10분이상 심장이 39래요. 괜찮은걸까요…? 자주 가슴답답함과 숨쉬기 힘듬, 어지러움 느껴요 단순 심리적인걸까요..? 대학병원에서도 2주간 홀터도했는데 괜찮데요;;; 심박수가 자는데 39까지 떨어지는데두요…. 물룐 애플워치가 의료기기는아니지만요.. 저는 일주일에 4-5일 30분정도 고강도운동을합니다. 운동선슈도아닌데요 ㅠㅠ괜찮은가요,,, 제가 갑상선항진증약을 먹고있는데요 오히려 빈맥이여야 정상아닌가요…..

  • @_sjw____
    @_sjw____ 8 днів тому

    듣고 싶었던 이야기가 여기에 쭈욱 있네요! ! 좋은정보 감사드렸고 올해도 감사드리겠습니다. 2024년 행복하고 좋은 일들만 가득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현재에 만족하지 않는 뜨거운 열정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더 높이 비상하길 바라고 하루하루가 늘 다르듯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하는 오늘이 도전이자 희망이 되어 더욱 활기찬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원동력이 되리라 믿습니다!! 시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음으로 팬들과 서스름없이 소통하고 희노애락을 함께 나눌 수 있는 페이지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에요.🙌

  • @user-we3yt4kc5y
    @user-we3yt4kc5y 8 днів тому

    골다공증은.치료하기힘들어요.칼슘제.복용하기도.무서워요.캄슘제.복용후.요로결석.와요.주의하고.신장검사해보셰요

  • @brave_baechoo
    @brave_baechoo 8 днів тому

    정말 잘봤습니다, 듣고 싶었던 이야기가 여기에 쭈욱 있네요! ! 프로공감러로서...내가 왜이럴까싶었는데~ 여기에 답이있었네요!^ ^ 건강한 공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소중한 콘텐츠..감사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화이팅 🙂

  • @jasonshin4816
    @jasonshin4816 8 днів тому

    티비에서 많이 뵜었던 교수님, 반갑습니다. 공감능력에 대한 영상 잘 봤습니다. 현대사회에서 공감능력은 필수지만 생각만큼 갖추기가 힘들더라구요, 노력하겠습니다.

  • @ole_ole_oo
    @ole_ole_oo 8 днів тому

    공감을 한다는 것이 그만큼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고 그렇지 못하면 피로하고 예민해질 수 있다고 하면서 그만큼 스트레스가 쌓일 수 있다고 하니 자신을 돌아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skippityskoppetty4568
    @skippityskoppetty4568 8 днів тому

    원래 생리통 없는데 생리때마다 뒤지게 아픈다음에 6개월후 쓸개떼었습니다. 없던 복통이 생기면 무조건 병원가야된단.ㄴ걸 유언으로 적어놓고 싶을 정도입니다. 배아프면 바로 병원가서ct를 찍으세요

  • @Ok-House82
    @Ok-House82 8 днів тому

    주위사람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왜 나도 힘이 들게 되는지 이제야 알겠네요! 공감능력도 중요하지만 나의 에너지안에서 공감을 해주는것도 나를 위해서 꼭 필요하겠어요!

  • @user-tw7sv3ft6l
    @user-tw7sv3ft6l 8 днів тому

    자기직전보다 새벽3시경에 항상 올라감 간이 계속 일하네 오르내리는것 보는정도 혈당축정은 영 아니다 연속혈당기라기보다 그냥 변화보는정도지 혈당은 꼭 채혈 해서 하는것 가격이 씰데없이 바가지폭탄이다

  • @glowls
    @glowls 8 днів тому

    저의지인이 왜 그러는지 알수있어서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 @Ymgohappy
    @Ymgohappy 8 днів тому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면 공감을 해주다보면 내가 마치 그 주인공인것 처럼 되어 같이 막 화도 나고 열도 받고 그렇게 되더라구요~ 내가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나의 에너지를 체크하고 50% 선에서 공감하라는 말씀 꼭 명심하겠습니다^^

  • @keunseek
    @keunseek 8 днів тому

    공감적 관심.. 이런게 있었군요. 왜저러나.. 또 저러내..이랬는데.. 자세히 알게되어서 이제는 대처할수 있을것 같아요.

  • @tamay2044
    @tamay2044 8 днів тому

    공감적 관심과 피로 잘 배웠습니다 항상 좋은소식과 정보 감사합니다

  • @noljahappy
    @noljahappy 8 днів тому

    딱 50%의 에너지 정도만 소비하면서 타인을 공감해 줘야 바람직한 공감이 될 수 있겠어요^^

  • @simfi92
    @simfi92 8 днів тому

    남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나도모르게 그 이야기에 빠져들면서 감정소비가 정말 많아지게 되더라구요!! 그러다 보면 같이 힘들어 지면서 나도 모르게 스트레스를 받고 힘들어져요ㅠㅠ 왜 그런 경험을 하게 되는지 평소에 궁금했는데 덕분에 그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 @user-vm3mt3ks
    @user-vm3mt3ks 8 днів тому

    2년전에 공복혈당장애 110 나왔다가 이 영상보고 열심히 운동하고 식단관리해서 지금은 공복혈당 98로 떨어졌네요. 식후 혈당이 크게 튀어서 밥먹고 소화시킬 겸 가자미근 스탠드 올라가서 종아리 운동하고 소화되면 나가서 빨리 걸었어요.

    • @jdudglskdfj5722
      @jdudglskdfj5722 8 днів тому

      종아리 쪽 운동이 좋긴 좋은가보네요.

  • @user-uf3xx6di3y
    @user-uf3xx6di3y 8 днів тому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정신건강의학과 윤대현 교수님의 말씀은 매우 귀중하며, 공감에 대한 올바른 접근법을 제시해줍니다. 💬💚 감정적 공감과 공감적 관심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더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공감을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공감에 대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우리 자신의 감정과 필요를 돌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 이러한 접근법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더 깊이 연결되고,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

  • @user-gx9zp2uw4w
    @user-gx9zp2uw4w 9 днів тому

    평소에도 늘 느꼈던 내용인데 윤대현 교수님이 의학적으로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넘 유익했어요!😊 늘 감사드립니다!💖

  • @user-ds6bd6ut6y
    @user-ds6bd6ut6y 9 днів тому

    정말 마음에 듭니다.

  • @hyoung7
    @hyoung7 9 днів тому

    자세히 쓰지는 못하지만 요즘 이런 저런 문제로 굉장히 힘들었는데 유용한 정보롷제 감정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가 이상한게 아니란걸 알게 되었습니다.😢

  • @user-wy3wk3dt7k
    @user-wy3wk3dt7k 9 днів тому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으로 부터 사랑과 관심을 받는 다는 점에서 공동체내에서는 인정받는 사람이므로 생활의 만족도는 높을 것 같아요. 너무 과한, 너무 부담스러운 공감 표현만 잘 조절한다면 공감능력이 해가 되지 않을 듯 합니다. 구독 &알림설정 + 좋아요 공감 꾸욱! 야무지게 누르고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응원합니다. 💖💖 🧡💛💚

  • @wangemong
    @wangemong 9 днів тому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I 윤대현 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kwaenam
    @kwaenam 9 днів тому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공감을 하다 보면, 감정이 전염되는 것을 느끼고, 이는 때로는 효율적인 공감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교수님의 조언을 통해 우리는 공감을 하되, 감정적 위로와 현실적 조언을 구분하면서 에너지를 최대한 절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더 효율적인 공감 방법을 찾아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따뜻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 @jswon93
    @jswon93 9 днів тому

    교수님의 “공감 피로”에 대한 설명이 정말 기억에 남습니다. 요즘 MBTI며 T니 F니부터 해서 다양한 공감에 대한 인식이 많아졌는데 저도 이런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던 터라 정말 도움도 많이 됐고 공감도 많이 됐어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abyssalvoyage
    @abyssalvoyage 9 днів тому

    교수님의 '공감 피로'에 대한 설명이 마음에 와 닿았어요. 요즘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피로감을 느끼던 차에 이 영상을 보니 많은 도움이 되네요.공감 에너지가 떨어지면 나도 모르게 까칠해질 수 있다는 말씀, 정말 공감됩니다. 직장 생활에서 공감과 짜증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감정적 공감과 공감적 관심의 차이에 대한 설명이 인상 깊었어요. 상대방의 감정을 나의 아픔처럼 느끼는 감정적 공감도 중요하지만, 객관적으로 도움을 주는 공감적 관심이 더 지속 가능하다는 점이 새로웠습니다. 특히 사연에서 언니와 동생의 이야기, 너무 현실적이었어요. 저도 비슷한 상황을 겪은 적이 있어서 더 공감이 갔습니다. 교수님의 솔루션처럼 내 에너지를 체크하고 50% 선에서 공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실천해봐야겠어요. 공감도 에너지를 소모하는 일이라는 점을 인지하게 되어 앞으로는 내 에너지를 잘 관리하면서 관계를 유지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실질적인 조언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junjae6
    @junjae6 9 днів тому

    감정적 공감과 공감적 관심 잘 배웠습니다

  • @TV-qf2zt
    @TV-qf2zt 9 днів тому

    한정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용한 콘텐츠 기대하고 많은 사랑과 관심 받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Yuki_lemon
    @Yuki_lemon 9 днів тому

    공감 능력이 너무 높아도 스스로에게는 스트레스일 수 있겠군요 뭐든지 과유불급이란 말이 생각나네요..ㅎㅎ

  • @cwpark-pu4zh
    @cwpark-pu4zh 9 днів тому

    공감능력 뛰어난 사람이 예민해지는 이유 라는 주제로 윤대현 교수님이 좋은 설명 잘해주셔서 유익했습니다. 감정적 공감과 공감적 관심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게되어 좋았네요

  • @hkb4022
    @hkb4022 9 днів тому

    건강검진시 흉부 CT 찍었는데 중등도 이상 추적관리 필요 라고 기재하고 어떤 설명도 안해줍니다 ㆍ 의사 자기만 알고 몇자기재하는 것으로 그만 이니ㅉ

  • @huchuholic
    @huchuholic 9 днів тому

    남의 감정까지 내 감정처럼 공감하면 감정의 기복이 꺼서 힘들 것 같아요 지나친 감정적인 공감보다 공감적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말씀을 명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 @user-fq5bs8ge7s
    @user-fq5bs8ge7s 9 днів тому

    공감이 에너지가 많이 소비된다는 것은 뜻밖의 사실이네요. 공감능력이 높은 것도 해가 될 수 있네요. 적당한 신체적 심적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이 좋겠어요

  • @zoo3573
    @zoo3573 9 днів тому

    공감이란 에너지가 굉장히 소모되는 일이고 과한 감정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감정적 공감 보다는 공감적 관심을 해야 한다는 말이 마음에 와닿네요.

  • @KimKIM-or8et
    @KimKIM-or8et 9 днів тому

    암로디핀2.5mg복용중인데 110/60정도나오는데 약을 끊어도 될것같은생각이 드는데 막상끊으려니 걱정되기도 하네요~ㅜㅜ

  • @user-qy5fg5jv8r
    @user-qy5fg5jv8r 10 днів тому

    생리가 끊어질것처럼 찔끔찔끔 하더니.... 몸이 아프기 시작하더라구요.. 자꾸 머리가 아프고.. 핑핑 도는 거 같아서 오래 걸어다니기가 힘들었고, 숨쉬는게 답답하고 잘 체하고 속이 쓰렸는데 갱년기에 흑염소엑기스가 좋다고 회사언니들이 진하게 해서 한마리만 먹어보래서 먹었더니 훨씬 나아요 속이 편안하고 두통이 없어지니 살거같네요 물 안넣고 푹 달여서 한거라 그런지 몸에도 잘 받는거같아요 다른거는 정제수라고 물 들어가는게 많다는데 물 안들어가고 정제수 없는 흑염소 맞는지 잘 보고 먹어야합니다

  • @youngmj
    @youngmj 10 днів тому

    너무 공감 능력이 높아도 예민해지고 신경질적일 수 있겠네요 적당히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